뭐든지 처음 도전하는 일들에는 막연한 두려움과 함께 실제적인 미숙함이 뒤따릅니다. 특히 관련분야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할 수밖에 없습니다. 저 역시 문과 출신에, 사무직으로 일하며, 인터넷으로 뉴스나 보면서 간간히 쇼핑 정도밖에 안하던 터라, HTML, CSS, RSS 같은 단어를 접할 때면, 순간적으로 머리가 무거워지는 현상을 줄기차게 경험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도 이제는 언택트 시대에 들어섰음을 확신하게 됐고, IT 관련 지식들을 놓칠 수 없다는 생각에, 힘들지만 계속 줄기차게 두드리고 있는 중입니다.
티스토리를 수익형 블로그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구글 애드센스를 달아야 합니다. 근데 블로그의 경우, 이 구글 애드센스 승인 기준이 유튜브처럼 명확하지 않아, 많은 분들이 애드고시라고 일컬을 정도로 굉장히 까다로운 편입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지원하기 전에 좋은 콘텐츠들을 많이 확보하는 것 이외에도, 준비해야 될 사항들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준비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사이트맵을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사이트맵이 필요한가?
블로거라면 누구나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블로그를 찾아와 발행된 포스팅들을 즐기길 바랍니다. 즉, 조회수가 향상되기를 바랍니다. 이 조회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바로 네이버, 다음, 구글, 빙(Bing), 줌(Zum) 등과 같은 검색엔진에 최적화시키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 / Serach Engine Optimization)란 각 검색엔진의 검색결과에 자신의 블로그 포스팅이 상위반영되게 하거나 반영되는 비율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키워드 광고를 집행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자신의 블로그(혹은 웹사이트)에 방문자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비용을 지출해야 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의 목표는 이런 광고를 집행하지 않고도 일반적인 검색에 따른 결과물을 자연스럽게 개선하는 것입니다. 티스토리의 사이트맵을 생성해서 이를 구글의 서치 콘솔과 네이버의 서치 어드바이저 등에 제출하는 것 역시 SEO의 한가지 일환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그럼 사이트맵이 도대체 뭔데 이것을 왜 구글과 네이버 측에 제출해야 될까요? 사이트맵(sitemap)은 내 블로그에 있는 모든 페이지 정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사이트맵을 생성한 뒤, 검색엔진 측에 제출하면, 검색로봇이 좀 더 손쉽게 내 블로그 정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롤링(crawling), 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 역시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 네이버와 구글 등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는 포스팅에서 추가적인 내용들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맵을 생성하는 방법
사이트맵을 무료로 생성할 수 있는 웹사이트는 대개 영어로 되어 있긴 하지만, 방법이 굉장히 단순하니 아래의 순서대로 따라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일단 xml-sitemaps라는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① 검색창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뒤,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② more options 버튼을 눌러 창을 활성화시킵니다. 활성화된 창 왼쪽 하단에 위치한 ③ Do not specify 버튼을 누른 뒤, 상태를 ④ Daily로 변환시켜 줍니다. 일련의 작업이 끝나면, 검색창 옆에 위치한 ⑤ 파란색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무리 포스팅이 별로 없는 신규 블로그라도 생각보다는 시간이 제법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재보지는 않았지만, 저는 포스팅이 30개가 넘는 상태에서 생성했더니 약 10분 정도 걸렸습니다. ⑥ 상태가 Completed! 가 된 것을 확인한 뒤, 하단에 있는 ⑦ 파란색 VIEW SITEMAP DETAILS 버튼을 누릅니다.
마지막으로 ⑧ 파란색 DOWNLOAD YOUR XML SITEMAP FILE 버튼을 누르면, 사이트맵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을 잘 저장해 두시길 바랍니다.
티스토리 사이트맵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것은 사이트맵 주소이기 때문에, 단순히 사이트맵 파일을 생성하는 것만으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다운로드받은 사이트맵 파일을 활용해서, 티스토리 사이트맵 주소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관리홈 → 콘텐츠 → 설정으로 이동하면, 새로운 글 편집기 사용여부를 정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글쓰기로 파일을 첨부하면, 티스토리 서버가 아닌 카카오톡 서버에 저장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① '사용하지 않습니다'를 선택한 뒤,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②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글 편집기 오른쪽에 기본설정과 관련된 창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③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뒤, 하단의 ④ 파일첨부 버튼을 누릅니다. 사이트맵 파일을 골라 첨부하면, ⑤ 파일이 첨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 확실하게 본문에 입력되지는 않았습니다. ⑥ 위치 설정 버튼을 눌러주면, 비로소 해당 첨부파일이 ⑦ 본문에 삽입됩니다.
글 편집기를 보면, ⑧ 사이트맵 파일이 본문에 삽입되어져 있습니다. 이를 확인한 뒤, 포스팅의 제목을 작성하고, 하단의 ⑨ 발행 버튼을 누릅니다.
해당 포스팅을 열어서 본문에 있는 ⑩ 사이트맵 파일을 우클릭해서, 링크주소를 복사합니다.
앞으로 검색엔진 등록 간에 복사한 링크주소를 계속 사용할 예정이므로, 메모장 등에 잘 보관해 두시길 바랍니다. 이제 사이트맵을 생성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