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노트/주식86

3월, 9월 분기배당주 찾는 방법 (+배당투자의 시작) 은행 예적금 금리가 높지 않은 지금,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배당투자가 떠오르고 있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주변 동료나 친구들과 배당투자에 관해 얘기하면, 솔직히 깊이 있는 대화가 어려웠다. 하지만 요새는 다들 생각보다 잘 알고 있고, 심지어 이미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도 심심찮게 많았다. 3월, 9월 분기배당주를 찾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자. 배당금은 주식투자를 통해 목표하는 시세차익과 함께 발생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수익이다. 다만, 일부 배당성향이 강한 회사들의 경우, 매우 높은 배당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때로는 주객이 전도되는 경우도 있다. 지난 2019년 동양고속이 코스피와 코스닥 통틀어 배당순위 1위를 차지했는데, 이때 시가배당률은 무려 16.9%에 달했다. 2020년에는 더 심각했는.. 2024. 8. 7.
오징어게임2 관련주 총정리 (+시즌2, 시즌3 방영일) 넷플릭스 '오징어게임1'이 2024년 12월 26일 '오징어게임2'로 돌아온다. 참고로 시즌2(6부작)와 시즌3(7부작) 합쳐 총 13부작이 준비됐으며, 촬영은 모두 끝났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현재는 시즌2의 후반작업이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 시즌3도 2025년 상반기 중에는 상영될 거라 예상되는 '오징어게임'의 관련주에 관해 알아보자. 재미로 보는 오징어게임2 관련주이렇게 좋은 작품을 단순히 즐기는 차원에서 끝내기엔 너무 아쉽다는 생각에 '오징어게임' 관련주를 찾아봤다. 실제로 '오징어게임1'은 전 세계적으로 신드롬급의 돌풍을 일으켰다. 그래서 제작사와 관련된 정보를 찾아 이리저리 알아봤는데, 결론부터 얘기해 '오징어게임2'는 관련주 자체가 아예 없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현재 '오징어게임2'.. 2024. 8. 3.
엑소 첸, 백현, 시우민 SM 전속계약 해지통보 3가지 쟁점 (+엔터주 악재) 소속사와 연예인 간에 노예계약 파문은 잊을만하면 터지는 사건이다. 최근에 가장 이슈가 됐던 사건은 이달의 소녀와 소속사 블랙베리크리에이티브 간의 분쟁이었다. 인기멤버였던 츄가 소속사를 상대로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소속사는 이에 츄를 이달의 소녀에서 제명하고 퇴출시켰던 사건이다. 아이돌 팬덤 사이에서는 상당히 시끄러웠던 이슈였지만, 이달의 소녀 자체가 국내팬덤이 약했던 관계로 생각보다 빠르게 잊히고 말았다. 기본적으로 유명 연예인일수록 계약과 관련된 문제가 터질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인기가 없는 아이돌은 재계약 혹은 정산과 관련해 문제가 생길 일 자체가 없다. 돈이 안되니, 그냥 사라질 뿐이다.) 실제로 역대급 인기를 누렸던 HOT와 동방신기 모두 계약과 정산이 문제 되면서 홍역을 치루기도 했다... 2023. 6. 5.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혼외자 등장 (+경영권 분쟁, 차남 실종사건) 불륜이 워낙 흔해진 시대라 그런지 솔직히 서정진 회장의 혼외자 등장이 딱히 놀랍진 않았다. 다만 추후 벌어질 경영권 분쟁이 걱정됐을 뿐이다. 개인적으로 셀트리온은 가장 많은 투자수익을 벌어다준 회사라 그런지 늘 관심을 가지고 있다. 결론부터 얘기해, 당장에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다만, 이상징후들을 미리 점검해 투자에 참고하면 좋을 듯싶다.  최근 셀트리온은 이슈들이 많았다. 긍정적인 이슈도 있었지만, 부정적인 이슈도 분명 많았다. ① 서정진의 차남인 서준석 셀트리온헬스케어 의장이 실종되는가 하면, ② 은퇴를 했던 서정진이 드라마틱하게 경영에 복귀하기도 했다. 그러다 ③ 느닷없이 내연녀와 혼외자 2명이 등장했는데, 주주 입장에서는 롤러코스터 타는 느낌이었을 것 같다. 사실 이 모든 이슈들이.. 2023. 5. 9.
미국 선물옵션 만기일, 네 마녀의 날 세부일자 (+2023년) 지난 2020년부터 주식투자에 입문한 주린이들은 주식과 관련된 주요 경제지표, 제도 등을 공부하느라, 많이 바빴을 것 같다. 특히 선물(Future)과 옵션(Option)의 경우, 그 개념 자체는 이해하기 쉬운 듯싶지만, 그 개념을 실제 투자에 적용하기까지는 굉장히 많은 경험과 내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늘 알쏭달쏭하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에 기회가 생길 때마다 개념을 반복해 복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한국의 선물옵션만기일 매달 있는 옵션만기일 당일과 전날에는 시장상황이나 포트폴리오를 평소보다 더 깊이 있게 정리하며 대응한다. 매 옵션만기일 때마다 큰 상승 혹은 큰 하락과 같은 변동성이 나오기 때문에 심장이 쫄깃해질 때가 많다. 특히 ⓐ 지수선물과 ⓑ 지수옵션, ⓒ 개별선물, ⓓ 개별옵션이 동시.. 2023. 4. 29.
증시 개장일, 폐장일,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총정리 (+2023년) 10년 주기 대위기설을 거론할 때면, 보통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그 시작으로 삼는다. 당시만 해도 나는 많이 어렸고, 아버지께서 고생하셨기에 별다른 위기 없이 넘어갈 수 있었다. 2008년 리먼사태 때도 이미 취업을 한 상태라 그런지, 당시의 위기를 크게 체감하진 못했다. 그렇기에 지난 중국발 코로나 확산은 부모님 곁을 떠나 오롯이 내 힘으로 겪었던 생애 첫 대위기였다. 돌아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 사이에 정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코로나가 전 세계를 팬데믹 공포로 몰고 가며, 본격적인 언택트 시대를 열었다. 전 세계 각국의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쳤고, 중앙은행 역시 이에 발맞춰 금리인하를 하며, 풍부한 유동성이 주식, 부동산 등과 같은 자산의 가치를 단숨에 향상시켰다. 특.. 2023. 4. 22.
영화 국가부도의 날 결말, 솔직리뷰 (+1997년 외환위기 발생한 이유) 위기는 언제나 기회를 동반한다. 지난 2020년에 예상치 못했던 중국발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폭락하는 재앙과 기회가 동시에 찾아왔지만, 준비하지 못했던 사람들은 좋은 기회들을 모두 놓치고 자산증식에 실패했다. 이에 역사적으로 중요했던 이벤트들은 미리 공부해 두면, 언젠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중에서도 제일 중요했던 이벤트는 바로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가 아닐까 싶다. 아시아의 네마리 용(싱가폴, 대만, 홍콩)으로 성장을 거듭하던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와 함께 1996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 가입해 명실상부한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섰다. 당시만 해도 기업들이 성장에 대.. 2023. 4. 21.
영화 빅쇼트 결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총정리) 투자자라면 1997년 IMF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를 반드시 공부해야 되며, 이중에 금융위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사태는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전 세계 경제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어렵더라도 최대한 이해해야 된다. 결론부터 얘기해서 영화 '빅쇼트'는 절대 재밌거나 친절한 영화가 아니다. 솔직히 아무런 배경지식 없이 시청한다면, 그 어떤 것도 배우지 못한 채 그냥 주인공들의 감정선만 쫓아가다 허무하게 끝날 수 있다. 물론 관객들을 배려해 마고 로비(Margot Robbie), 셀레나 고메즈(Selena Gomez) 같은 셀럽들이 최대한 쉽게 개념을 설명하지만, 절대 만만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금융사건을 몰입감 있게 빠져들 수.. 2023.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