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솔렌에듀/진학, 취업21

2025년 의대 증원 규모 최종결과 (+의대별 정원 총정리) 뜨겁게 타오르던 의대 증원이 최종적으로 확정됐다. 수십년 동안 단 한명의 증원조차 반대해 왔기에 이번 선택은 어쩔 수 없었다고 본다. 맞아야 될 매를 제때 맞지 않아 몰아서 맞는 느낌이랄까? 최종적으로 결정된 의대 증원의 규모와 각 의대별 정원을 알아보도록 하자. 의대 서열, 순위를 결정짓는 핵심변수의대 서열은 어떻게 될까? 단순히 수능 입결순으로 의대 서열을 나래비 세우는 게 합리적이라 할 수 있을까? 물론 결과적으로 보면 그렇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입결 자체는 말 그대로 결괏값에 불과하기 때문에 서열에 관한 근거라고는 볼 수 없다. 의대 서열을 결정짓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각 의대와 교육협력을 맺고 있는 대학병원의 규모(=병상수)라고 봐야 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대학병원, 부속병원, 협력.. 2024. 6. 16.
의대 순위, 서열 총정리 (+빅 5 메이저 의대, 삼룡의 뜻) 원래 국내에는 총 41개의 의대가 있었다. 하지만 서남대가 지난 2018년에 폐교하면서 현재는 총 40개가 유지되고 있다. 개인적으로 빅 5 메이저 의대를 제외하고는 순위를 매기고, 서열을 나누는 게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굳이 구분해 봤다. 실제로 상위권 의대와 하위권 의대의 입결을 보면, 최대 수능 문제 4개 정도니 입결로만 보면 큰 차이가 없다.  의대 순위, 서열 총정리① 빅 5 메이저 의대 서울대 의대는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연세대 의대는 서울대 의대의 라이벌로 양강 구도를 이루면서, 입결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성균관대(삼성서울병원),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울산대(서울아산병원) 의대는 매년 순위(3등~5등)가 바뀌고 있다. 아무래도 국내 최고의 병원들을 부속병원으로 .. 2024. 6. 13.
빅5 병원 병상수 총정리 (+서연가성울 뜻) 윤석열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국내 빅5 병원을 비롯한 주요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전공의들이 파업에 들어갔다. 자연스럽게 이들 빅5 병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어떠한 병원들인지, 어떠한 기준으로 선정됐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빅5 병원 병상수 총정리의과대학 입결은 보통 '서연가성울' 순이다. TOP 3는 늘 서울대, 연세대, 가톨릭대 순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매년 입시결과에 따라 성균관대, 울산대, 고려대가 다음 순위를 경쟁한다. 다만, 고려대학교의 부속병원인 고려대안암병원의 병상 규모가 다른 빅5 병원들에 비해 다소 작은 편이라는 점은 참고하자. 아래는 병상수 1000개 이상의 종합병원 리스트다.  병상의 규모는 결국 매출의 규모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변수이기 때문에 그동안은.. 2024. 5. 21.
의사 호칭 총정리 일반의, 수련의, 전공의, 전문의, 전임의 뜻과 차이점 (+인턴, 레지던트, 펠로우) 최근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의대정원 확대와 관련된 이슈가 일파만파 퍼지면서 의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공의가 파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의사도 수련 정도에 따라 호칭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일반의, 수련의, 전공의, 전문의, 전임의 등과 같은 호칭들의 뜻과 함께 차이점을 살펴보자. 의사들의 호칭은 수련기간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일반의 → 수련의(인턴) → 전공의(레지던트) → 전문의 → 전임의(펠로우=임상강사) → 임상교수 → 대학교수의 과정을 밟는다. 수련을 오래 하면 오래 할수록 숙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다. 특히 전문의는 전문의 자격시험 자체가 보건의료 관련 자격시험들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어렵기로 악명이.. 2024. 3. 31.
2호선 대학교 뜻, 서열, 순위 총정리 (+인서울 명문대 컷) 2호선 대학교는 명문대 대학교들을 통칭하는 또 다른 말이다. 서울의 지하철 2호선 라인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들을 뜻하며, 실제로 이들 학교들의 면면을 보면 가히 명문대 그룹이라 부를 만하다. 2호선 대학교에는 어떤 대학들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 대학들의 서열을 알아보도록 하자. 2호선 대학교 뜻, 서열, 순위 총정리 사실 고등학교에 처음 입학할 때만 해도 열심히 공부하면 누구나 '서연고' 입학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고3이 되면, 문과 기준 상위 3%에 들어야 '서성한' 언저리를 노려볼 수 있고, 상위 10% 안에는 들어야 '국숭세단' 정도가 가능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파레토 법칙에 따라 명문대의 기준을 20%까지로 늘리자니, '한서삼 인가경'을 명문대로 부르기에는 너무 많이 부족.. 2023. 9. 20.
교대 서열, 순위, 입결 폭락 총정리 (+인서울 대학교 비교) 오래전부터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한국에서는 전문교원 양성을 목표로 하는 10개의 교육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일명 교대라 불리는 교육대학교는 전국 각 지역의 거점에 설치된 국립대학교라는 점에서 사실상 '지거국' 범주에 들어간다. 이들 교대의 서열, 입결 등을 인서울 대학교와 비교하며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로 교대를 제외한 4년제 대학교 중에는 오직 이화여대, 한국교원대, 제주대만이 초등교육학과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고 싶다면, 이들 13개 대학에 입학하면 된다. 2000년대 초만 해도 문과 최상위권을 장악했던 교대 입결은 점차적으로 하락하다가 지난 2023년 수능을 기점으로 대폭락 했다. 물론 모든 재학생들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수원대와 등급을 함께하는 수준까지.. 2023. 9. 9.
로스쿨 서열, 순위, 입학정원, 변시합격률 총정리 (+변호사 되는 방법) 국내에는 지난 2009년 3월부로 일명 로스쿨이라 불리는 법학전문대학원이 시행됐다. 보통 2년 과정인 석사와 달리 법학석사는 총 3년 과정으로 이뤄졌으며, 현재 총 25개의 로스쿨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 로스쿨의 서열, 입학정원, 변호사시험 합격률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변호사가 되는 방법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변시(변호사 시험)를 통과해야 된다. 하지만 변시를 보기 위해서는 무조건 법학석사 학위를 소지해야 되기 때문에 로스쿨 진학은 필수다. 이쯤에서 동국대, 홍익대, 숙명여대,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단국대, 광운대, 명지대, 성신여대, 경기대 등과 같은 대학들이 로스쿨 유치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학 학사과정을 운영하는 게 의아할 수 있다. 실제로 이들 대학들의 법학 학사과정은 로스.. 2023. 9. 8.
공대 대학서열, 순위 총정리 (+5공대, 지디유 뜻) 문과라서 죄송하다는 '문송합니다'라는 표현이 대변하듯이 현재는 이공계 전성시대다. 공대의 대학서열은 확실히 인문계와 다르기 때문에 따로 구분해서 확인해야 된다. 물론 비슷한 경향이 있긴 하지만, 카이스트, 포스텍, '지디유', 켄텍 등과 같은 이공계 특성화대가 다수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더 넓다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거국' 공대의 약진이 놀랍다. 주요 대기업의 공장들이 지방에 위치한 만큼 해당 지역의 맹주인 '지거국' 출신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굉장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기존 순위보다 대략 한단계 정도 높여서 보면 될 것 같다. 한국외대 공대는 지방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사실상 다른 대학교라고 보면 된다. 여대의 공대는 인문계에 비해 입결이 한단계 정도 더 낮은 경향이 있다. 지거국 뜻.. 2023.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