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이슈/정치

전당대회 뜻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룰 차이점)

by 여의도 제갈량 2024. 6. 26.
반응형

전당대회 시즌이 찾아왔다. 정치에 별 관심이 없는 일반 대중들의 입장에서는 정당에서 펼쳐지는 그들만의 축제에 왜 이리 호들갑을 떨까 싶을 수 있다. 하지만 전당대회는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짓는데 가장 결정적인 키맨이라 할 수 있는 여당과 야당의 대표를 뽑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이벤트라 할 수 있다. 정당대회의 뜻에 관해 알아보자.

 

정치인 페이스북, 인스타 총정리

· 이재명 : https://www.facebook.com/jaemyunglee

· 이재명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2_jaemyung

· 김기현 : https://www.facebook.com/eutface

· 정동영 : https://www.facebook.com/coreacdy

· 도날드 트럼프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realdonaldtrump

· 김건희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kim_keonhee

· 송영길 : https://www.facebook.com/songyounggil63

· 문재인 : https://www.facebook.com/moonbyun1

· 문재인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moonjaein

 

전당대회 뜻 총정리

전당대회(全黨大會)는 ① 당대표, 최고위원 등과 같은 정당의 지도부를 선출하는 선거다. 물론 지도부 선출 외에도 ②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거나 ③ 당헌당규 개정 등과 같은 주요 아젠다를 해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정당마다 공식명칭은 조금씩 다른데,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더불어민주당은 전국대의원대회라 부른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실상 동일한 단어라 할 수 있다.

 

흔히들 대통령 선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각 당에서 펼치는 전당대회를 통해 그 선거를 주도하는 여야의 지도부가 결정되는 만큼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지도부에 의해 총선과 지방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는 물론 사실상 대선 후보마저 결정된다고 봐야 된다. 실제로 이들 후보들을 뽑는 공천의 관리자를 뽑는 행사가 바로 전당대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경제가 정치보다 우선시 되는 경우가 많아 전당대회가 딱히 이슈가 안되지만, 중국이나 북한, 베트남 등과 같이 당이 국가보다 높은 개념에 있는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5년마다 돌아오는 전당대회야 말로 가장 중요한 국가행사라 할 수 있다. 중국은 양회 중에 하나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북한은 조선노동당대회, 베트남은 전국대표대회가 이에 해당된다.

 

초미의 관심인 전당대회 룰

국민의힘 전당대회 룰

그동안 정치권의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은 본인의 입맛에 따라 전당대회 룰을 개정해 왔다. 예를 들어 윤석열 대통령의 그립감이 어마어마하게 컸던 2023년 제3차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는 기존 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 대신 당원투표 100%와 결선투표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당시 겨우 5%의 지지율을 차지했던 김기원 의원이 당대표로 당선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뒷말이 많았는데, 원래 역사적으로 보면 전당대회는 당원투표 100%로 이뤄지는 게 보통이었다.

 

김기현 국민의힘 전대표

 

실제로 지난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천년민주당이 전당대회 룰에 일반여론의 지지비율을 포함시키면서 본격적인 도입이 시작됐다. 당시 새천년민주당은 이를 국민참여경선제로 불렀는데, 이는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노무현 전대통령을 당선시키는데 디딤돌이 됐다. 이후 모든 정당이 이를 도입해 지난 20여년 동안 표준처럼 활용했으며, 그 시기에 따라 일반여론의 반영비율은 변했다. 참고로 여론조사 100%로 선택하는 경우를 완전국민경선제라 부른다.

 

노무현 전대통령

 

당원이 아닌 일반국민의 지지도가 포함되면,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일단 전당대회의 컨벤션 효과가 극대화된다. 아무리 정치에 관심 없는 사람들도 본인의 의사가 반영된다고 하니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중도 확장성이 높은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즉, 극좌 혹은 극우에 치우친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통령(현재 권력)이나 차기 대권주자(미래 권력)에게 충성경쟁을 하는 사람이 아닌 대중에게 사랑받는 사람이 당선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당내 기반이 약했던 노무현은 앞서 언급했던 국민참여경선제를 통해 당선이 유력했던 정동영 의원을 꺾고, 새천년민주당의 대선후보가 됐다.

 

정동영 의원

 

물론 국민참여경선제가 무조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양당제가 더욱 고착화될 수 있다. 애초에 국민참여경선제는 양당제가 최적화된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유래했다. 그래서 오픈 프라이머리(open primary)라 부르기도 한다. 인지도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광고비를 얼마나 확보했느냐가 당선에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정치자금을 많이 지원해 줄 수 있는 후원자에게 후보가 휘둘릴 가능성도 생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대통령

 

2024년 제4차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는 기존 당원투표 100%와 결선투표 대신에 당원투표 80%, 여론조사 20%, 결선투표가 도입됐다. 아무래도 직전에 펼쳐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권심판론이 작동해 참패한 탓이 컸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가 3년 가까이 남은 상황인지라 여전히 그립감이 강한 상황이다. 또한 정권을 정조준하고 있는 해병대 채상병 특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의혹 등을 풀어 나가야 되기에 쉽지 않을 것 같다.

 

김건희 여사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룰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를 굳이 전국대의원대회라고 부르는 이유는 대의원제라는 독자적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의원은 자당 소속의 국회의원, 시군구청장, 시도의회 의장, 지역위원회의 추천으로 선출된 인원이다. 이들 대의원은 권리당원과는 별도로 전당대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마지막으로 치러졌던 2022년 더불어민주당 제5차 전국대의원대회는 권리당원 40%, 대의원 30%,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의 비율로 치러졌다. 권리당원의 수가 약 120만명, 대의원의 수가 약 1.6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의원 1명의 투표권은 무려 약 60명의 권리당원의 표와 맞먹는다고 볼 수 있다.

 

대의원제는 여러 가지 장단점이 혼재되어 있는데, 2021년 임시 전당대회 당시 송영길 의원 측이 돈봉투를 뿌려 당대표가 됐다는 의혹이 드러나면서, 점차 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은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대의원, 권리당원의 표반영 비율을 기존 60~70:1에서 20:1로 줄이기로 최종 결정했다. 사실 표의 등가성만 따지면, 애초에 대의원제는 문제가 많다고 봐야 된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전대표

 

하지만 대의원제 자체는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기 전부터 존재해 왔던 민주당 고유의 전통으로 지역별 당원 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탄생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역대 민주당의 권리당원은 호남에 집중되어 있다. 그나마 노무현, 문재인 전대통령의 당선으로 인해 PK(부산, 경남)에 영향력이 넓어졌을 뿐 여전히 영남 전체적으로는 권리당원이 많지 않다. 그래도 지금은 서울, 경기도로의 이주가 집중되면서 전반적인 민주당세가 전국적으로 확대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재인 전대통령

 


 

반응형

댓글